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소변이 조금 새는 요실금은 많은 국내 중년 여성들이 겪고 있습니다. 그만큼 흔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질환 특성상 수치심으로 인하여 치료를 미루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실금은 일생생활에 큰 불편함을 주는 것뿐만이 아닌 삶의 질까지 떨어뜨리는 질환으로써 정확한 상담을 통하여 증상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잘못된 자세와 출산으로 인한 골반근육 약화,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젊은 여성층에게서도 증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습니다.

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요도를 통해 소변이 나오는 증상으로 주로 여성분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하지만 남성도 요실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남성보다 질환이 더 자주 발생하는 이유로는 괄약근이 남성에 비해 약하고 요도의 길이도 짧으며 임신과 출산의 이유로 그런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요실금은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과 증상을 파악해야 합니다.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요실금 환자의 대부분이 복압성 요실금을 겪고 있습니다. 복압성 요실금의 원인은 요도와 방광을 지지해 주고 있는 골반 근육의 약화와 소변을 새는 것을 방지해 주는 요도 괄약근이 약화되며 발생합니다. 주로 기침이나 재채기 등의 복압이 증가하는 경우에 소변이 새어 나옵니다.
또 따른 증상인 절박성 요실금의 경우에는 방광염을 앓고 있거나 방광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원인으로 소변이 자주 마렵게 되며, 마려운 순간을 참지 못하여 소변이 새어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밤에 소변이 자주 마려워 잠을 깨게 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됩니다.
일류성 요실금의 경우에는 소변이 방광에 가득 차 넘쳐흐르거나 방광이 막혀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마지막으로 혼합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합쳐진 경우를 말합니다.

저희 의정부산부인과 에이치큐브병원에서는 약물치료법, 방광훈련, 수술요법 등을 통해 증상을 개선해 드리고 있습니다.
약물 치료법은 약물을 이용하여 방광의 평활근을 안정시켜주며, 요도 괄약근의 수축을 높여 드립니다. 주로 과민성 방광과 절박성 요실금을 겪는 환자분들에게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입니다.
방광훈련은 소변을 참는 방법을 교육해 드리고 점차 소변을 누는 간격을 늘려가게 해주는 훈련으로 훈련 중 환자분이 소변이 급하다고 하시더라고 예정된 배뇨 시간까지 참으셔야 하는 방법입니다. 또 다른 훈련 법인 케겔운동(골반근육 수축운동)은 소변을 누고 있을 때 중간에 참는 듯한 느낌을 약 10초 정도 지속해 주고 풀어주는 골반 근육 운동으로 아침 점심 저녁 간격으로 나누어 꾸준히 반복하여 질 근육을 강화시켜주는 운동법입니다.
마지막 수술요법으로는 TOT(Tension Obturator Tape) 수술입니다. TOT 수술요법은 약물 치료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없는 복압성 요실금을 겪고 있는 환자분들에게 적용하는 치료법으로 매쉬 테이프를 요도 부위에 삽입하여 요도를 정상적인 위치로 교정해 주어 갑작스러운 기침과 같은 복압을 증가할 때 요도를 닫게 하여 소변이 새는 것을 방지해 주는 치료법입니다.


요실금의 예방법
1. 요실금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비만이기 때문에 적정 체중을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2. 물을 충분히 마셔줍니다.
3. 케겔운동(골반근육 수축운동)을 생활화해줍니다.
4.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오랜 시간 취하지 않습니다.
5. 맵고 짠 음식이나 탄산음료 등 방광을 자극하는 식품을 멀리해야 합니다.

요실금이라는 질환은 수치심을 가져오기 때문에 치료를 미루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방치할 경우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보이면 의정부산부인과 에이치큐브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원인과 증상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법으로 증상을 개선하시길 바랍니다.


'산부인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임문제 노원산부인과에서 방법을 찾아요 (0) | 2022.07.26 |
---|---|
갱년기 방학동여성병원에서 건강하게 극복해요 (0) | 2022.07.25 |
조급해하지 말고 치료 알아봐요 창동난임 (0) | 2022.07.20 |
산전검사의 중요성과 그 종류, 도봉구산부인과 (0) | 2022.07.13 |
양주산부인과, 여성 괴롭히는 자궁근종 해결법은?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