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노원황달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증상 조기치료

에이치큐브병원1 2022. 5. 20. 22:45

노원황달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증상 조기치료

황달은 생후 2-3일 후에 발견되며 아이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증상입니다. 일주일 안에 없어지는 특징이 있으나, 진료가 필요한 병적 황달은 시간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고 2주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노원황달 에이치큐브 병원에서는 2주 이상 지속시 적절한 관리를 시작필요하다고 설명드리고 있습니다.

만삭아의 60%에서, 미숙아의 80%에서 황달이 발생, 혈중 빌리루빈 증가로 발생하는데

황달 증상이 심한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황달의 원인

혈중 빌리루빈이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적혈구가 많을 때 혹은

생성된 빌리루빈이 미숙한 간에서 처리되지 못했을 때 황달이 발생합니다.

진료가 꼭 필요한 경우

- 생후 첫날 황달이 발견되는 경우

-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으로 높은 경우

- 생후 2주이상 황달이 지속되고, 직접 빌리루빈이 2mg/dL이상인 경우

병적 황달 원인

< Rh 부적합 >

엄마 혈액형이 Rh음성, 아기 혈액이 Rh양성일 때 발생하고 ABO 부적합은 엄마 혈액형이

O형이고, 아기의 혈액형이 A형 혹은 B형일 때 발생 할수 있으며, 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초기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 모유 황달 >

생후 1주일 경에 나타나고, 3주일에서 10주동안 지속되며, 모유가 주된 원인으로 안에 있는 지방산들이 간의 빌리루빈 대사를 방해하여 나타나게 됩니다.

< 담도의 이상, 간염 >

담도 이상이나 간염으로 인한 황달은 발병시기가 느려 장시간 지속될 수 있으며,간접 빌리루빈 보다는 직접 빌리루빈이 증가합니다.

황달 검사

1. 보통 직, 간접 빌리루빈 수치

2. 혈액형 검사

3. 일반 혈액검사

4. 용혈에 의한 원인 검사 및 간 기능 검사

황달 치료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20mg/dL이상 올라가지 않게 하고 위험 수준에 도달한 경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1. 광선치료

2. 교환수혈

3. 모유중단

4. 수술적 치료

황달체크 시 꼭 밝은 곳에서 아기의 옷을 벗기고 살펴보는 것이 좋으며, 부위는 얼굴이나 가슴까지 노란색을 띄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팔, 다리 , 발바닥까지 노란 경우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