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새어 나온다면

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소변이 나오게 되어 속옷을 적시게 되는 현상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위생적 또는 사회적으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요실금은 여성분들이 남성분들보다 발생하는 빈도가 높고 우리나라 여성분들의 약 40% 이상이 요실금은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요실금의 경우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발생하는 빈도가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특히나 여성분들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잦은 임신이나 출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성들보다 요도가 짧아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의 경우에는 오줌이 방광에 차게 되었을 때 고무줄처럼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요도 괄약근이 반사적으로 수축하여 방광으로부터 오줌이 새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어느 정도의 양이 차게 되면 감각신경이 이를 감지하고 뇌로 전달하여 요의를 느낄 수 있게 해주어 오줌을 배출하게 됩니다. 하지만 요실금 환자분들은 방광의 제어 능력을 상실하게 되어 의지와 상관없이 오줌이 새어 나오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요실금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고 치료방법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요실금 증상이 나타난 건지 정확하게 파악을 한 뒤 치료를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실금의 종류와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복압성 요실금: 대부분의 요실금 환자분들이 겪고 있는 흔한 요실금으로 재채기, 기침. 크게 웃는 행동 등의 복압이 갑작스럽게 증가하게 되었을 때 소변이 새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복압성 요실금은 방광과 요도를 지지해 주고 있는 골반 쪽 근육이 약해지거나 요도 자체의 기능이 상실하게 되어 요도를 딛는 행동에 문제가 발생하여 나타납니다. 주로 반복적인 임신과 출산, 비만,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절박성 요실금: 방광에 이상이 발생하여 순간적인 요의를 참지 못하고 소변이 새어 나오게 됩니다. 소변이 마려워 화장실을 가는 도중에 새어 나오거나 바지를 내리기 전에 흘러나오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초기 치료를 진행하면 약물 또는 주사 치료를 통해 개선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복합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되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며 빠른 치료가 중요한 증상입니다.

저희 도봉구산부인과 에이치큐브병원에서는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해 드리기 위해서 약물치료, 운동치료, 수술치료 등을 통해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 약물치료는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방광의 평활근을 안정시키고 수축력을 높여주는 약을 복용하거나 주사를 투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치료법입니다. 주로 절박성 요실금 환자분들에게 적용하는 치료법이며 복압성 요실금 환자분들에게서는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다는 점이 있습니다.
- 운동치료는 요실금 환자에게 소변을 참는 방법을 교육하며, 정해진 스케줄에 맞추어 화장실을 가는 방식으로 소변을 보는 간격을 천천히 늘려가는 치료법입니다. 또한 소변을 보고 있을 때 참는 듯한 느낌으로 약 10초 이상 버티고 서서히 풀어주는 운동인 케겔운동법은 배우게 되며 아침 점심 저녁에 나누어 운동을 하여 괄약근을 강화해 주는 운동법도 있습니다.

- 수술치료는 약물치료와 운동치료를 진행하였지만 증상에 개선점이 안 보이는 경우에 실행하는 치료법으로 저희 도봉구산부인과 에이치큐브병원에서는 TOT수술을 통해 증상 개선에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TOT수술은 매쉬테이프를 삽입하여 요도를 정상적인 위치에 교정 및 고정시키며 순간적으로 복압이 발생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요도를 닫아주도록 도움을 주게 하는 치료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