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학과

의정부소아과 신생아 황달 걱정된다면

에이치큐브병원1 2022. 4. 4. 14:23

 

의정부소아과 신생아 황달 걱정된다면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신생아의 피부가 노랗게 보여 놀라셨나요?

신생아의 60%, 미숙아에게는 약 80%가

황달 증상을 겪게 되는데, 황달이 무엇인지

어떻게 판별을 하는지 구분하기 어렵다면

에이치큐브 병원의 도움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신생아 황달이란?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황달은

아이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현상으로

생후 2~3일깨까지 발견되고

1주일 안에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증상이 점점 심해지거나 2주 이상 지속된다면

의정부소아과 에이치큐브 병원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케어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혈중 빌리루빈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황달은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기 마련이지만,

심한 황달 증상이 지속되는데도 치료하지 않는다면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진료가 필요한 병적 황달은?

- 생후 첫날 황달이 발견된 경우

 

-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이상으로 높을 때

 

- 생후 2주이상 황달이 지속되고

직접 빌리루빈이 2mg/dL이상인 경우

 

 

황달 증상이 원래 아이의 피부가 노란 색을

띄는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증상이 심해

눈 흰자위, 얼굴과 몸통에 이어

발바닥까지 노랗게 변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아이가 잘 먹으려 하지 않고

몸이 쳐지고, 정상적이어야 하는 놀람반사가

약해지는 경우 빠르게 의정부소아과

에이치큐브 병원을 찾아주시길 바랍니다.

 

 

병적 황달이 나타나는 이유?

- Rh 부적합

엄마의 혈액형이 Rh음성,

아이의 혈액형이 Rh 양성일 때 발생

ABO 부적합은 엄마의 혈액형이 O형,

아이의 혈액형이 A 혹은 B형일 때 발생할 수 있음.

 

- 모유황달

보통 생후 1주일쯤 나타나며,

3주에서 10주동안 지속된다. 모유황달의 원인은

모유 안에 있는 지방산이 간의 빌리루빈 대사를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 담도의 이상

담도의 이상 혹은 간염에 의해 황달은

발병시기가 느리고, 장기간 지속하는

특징이 있으며 간접 빌리루빈보다

직접 빌리루빈이 증가하게 된다.

 

 

아이에게 병적 황달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원인에 따라 광선치료, 교환수혈, 모유중단 및

수술적인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

보통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20mg/dL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황달이 위험 수준에 도달하는 경우

병원에 입원하여 광선치료 혹은

교환수혈을 하게 됩니다.

 

 

황달 증상을 빠르게 발견하기 위해서는

밝은 곳에서 아기의 옷을 벗긴 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팔과 다리까지 증상이 나타나

발바닥까지 노랄 경우 의정부소아과

에이치큐브 병원으로 내원하셔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후 2주 이후에도 황달기가 남아 있다면

병원에서 진찰을 통해 확인해보시고

원인을 찾아 치료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정부소아과 에이치큐브 병원에서는

신생아 황달 이외에도

신생아 검진, 예방접종 등

신생아 클리닉을 통해 아이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으니 이상증상이 있는 경우

빠르게 내원하셔서 적절한 치료로

악화되기 전에 조기에 예방하고

케어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